M&A, 펀드의 動向
<歐美勢,”日本 買入” 이이져>
경영진에 의한 기업 매수(MBO) 등으로 투자 편드가 존재감을 높이고 있다. 여유 돈을 배경으로 투자 여력이 증가 하고 있다. 펀드에 의한 M&A(기업의 인수.합병)는 어떻게 되고 있는가? 포카 코포레이션의 MBO를 다루는 독립계 대규모 펀드인 어드밴티지 파트너즈社의 대표 파트너인 사사누마 타이스케씨에게 물었다.
Q.와루드社에 이어 폿카社의 MBO가 성립 되었다.
주식 非公開化로 上場 企業으로서의 제약으로부터 해방 되어 새로운 비젼이 열렸다. 상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불가능 했던 대담한 사업 개혁도 빠르게 진행 할 수 있다. 투자 펀드가 자금원으로 등장한 것으로서 비공개화를 목표로 한 MBO는 앞으로도 증가 할 것이다.
대기업이 <選擇과 集中>을 행하는 과정에서도 MBO가 유력한 선택 수단이 되고 있다.이전 같으면 자회사 상태로 발전을 예상 할 수 없다 라는 것을 알고 있더라도 경합 타사에 팔 수도 없고 포기하는 케이스가 많았었다. 최근에는 매입자에 펀드가 있는 것인가? 라고 생각하는 경영자도 증가 하고 있다.
Q. 세계적인 대형 펀드의 설립이 눈에 띈다.
歐美를 중심으로 기관 투자가가 적극적으로 출자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일본 투자용 펀드에는 높은 관심을 쏟고 있다. 일본은 시장 인프라가 이제서야 겨우 정비 되어진 단계에 있어 그 만큼 성장의 여지도 크다 라고 보여 지고 있다.
일본에 대해서는 海外 投資家는 과거 30년 동안 최대의 투자 기회가 있다 라고 생각하고 있다. 불량 채권의 처리가 진행 되어 기업 수익도 과거 최고를 갱신 중에 있는 것을 평가 하고 있다. 이번의 총선거을 보고 구조 개혁은 앞으로도 변함이 없다 라고 판단하고 있고 지금 직면하고 있는 <日本 買入>은 계속 될 것이다.
당사에서도 자금의 출자자로서 해외 기관투자가의 비율은 상승 하고 있다. 1997년의 제1호 펀드로 海外 機關投資家가 제로(0)였던 것이, 2000년의 제2호 펀드로 20%,2003년의 제3호 펀드로 40%가 되었다. 하지만 정부는 펀드에 출자하는 해외 투자가에의 과세 강화를 강화하고 있어 일본에 투자하고 싶어도 투자할 수 없는 기관 투자가가 나오고 있다.
Q. 일경 평균 주가지수가 13,000엔대로 올랐다.
주가 상승으로 자금 회수를 위한 출구 전략을 그리기 쉽게 되었다. 株價가 앞으로도 견조하게 추이를 보이면 투자 펀드에 있어서 신규 주식 공개(IPO)가 유력한 출구 방법이 된다.
한편, 주가 상승은 매력적인 투자 안건을 발굴하는데 있어서는 반드시 順風 역할이 되지 않는다. 매수 가격이 상승하는 분 만큼 투자 채산이 악화하기 때문이다. 高株價를 이용해서 M&A를 적극적으로 하려고 하는 사업 회사도 증가 한다. 안건을 둘러싼 투자 펀드와 사업 회사가 서로 경합 하는 케이스가 눈에 띄게 될 것이다.
Q. 은행도 펀드에 빠짐없이 모두 융자 하고 있다.
분명히 펀드의 자본 구성을 보면 차입의 비율은 상승 하고 있다. 株主 資本과 借入 資本은 1대2가 평균적인 모습 이지만, 최근에는 1대5와 1대6의 경우도 있다.
차입이 많을수록 금리 상승 등에 대한 저항력이 부족하게 되어 高리스크.高리턴 (고수익.고위험)型이 된다.
하지만, 그 정도로 불안하게 생각하고 있지는 않다. 구조조정 노력과 경기 회복을 배경으로 기업의 캐쉬 플로(현금 수지) 창출력은 높아져 있고 어느 정도 차입을 늘리는 것은 합리적인 행위 이다. 더우기 옛날과는 달리 은행은 기업의 사업 계획과 캐쉬 플로를 분석한 후에 融資 하고 있다. 안건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의 채무 불이행은 피할 수 없지만, 전체로서 리스크 관리는 확실하게 되어 지고 있다.
☞. MBO란?
Management by out의 약자로서 <經營者에 의한 買收>를 의미 한다. 경영진이 돈을 차입하여 자신의 기업 주식을 매수 목적 회사 등을 통해서 母會社와 일반 투자가로부터 사 모아 오너가 되는 것을 가르킨다. 다시 말해서 경영진과 종업원이 기업과 사업 부문을 매수해서 독립하는 M&A(기업 인수.합병)의 수법. 매수의 인수자로서 설립하는 회사(매수 목적회사)가 금융기관과 투자 펀드의 투융자를 받아 대상이 되는 기업과 사업부문을 매입 한다.
일본에서는 2000년부터 서서히 안건이 증가하고 있다. 사업재편과 기업 재생 등 구조조정으로 사용 되어지는 경우가 많다. 경영진과 종업원이 주주가 되기 때문에 외부의 소리에 좌우 되지 않고 대담한 경영을 전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장점>
1. 경영진의 사기가 높아진다.
2.경영의 기동성이 높아진다
<단점>
1. 과대한 채무가 부담이 된다.
2. 경영에 대한 외부 감시가 약해질 염려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