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상대적 寡占型과 절대적 寡占型=점유율의 4가지 형태(2)
점유율의 제3의 패턴은 <相對的 寡占型>이다. 1위와 2위와 3위를 합계한 점유율이 상한 목표의 73.9% 이상에 달하는 것이지만,2위와 3위를 합계한 점유율이 1위를 상회하고 게다가 그 차는 √3배 이내의 힘의 관계(力關係)가 되어 있는 것과 같은 패턴을 말한다.
前項에 열거한 2大 寡占型의 경우,1위와 2위가 치열한 싸움을 전개하기 때문에 그 틈 사이를 뚫고 3위가 어부지리를 점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는 것처럼 1위와 2위의 2大 기업의 싸움의 추이와 그 와중에 취하는 전략에 따라서 업계 전체가 좌우되는 경향이 강하지만,이 相對的 寡占型의 경우는 1위와 2위가 아니고 2위와 3위의 경쟁이 어떻게 변하여 가는가에 따라 전체의 힘의 관계가 좌우 되는 경우가 많다. 1위,2위,3위의 셋 중에 1위를 가리는 우승 결정전이 전개 되어지기 때문이다. 일본 전체의 상품수로부터 보면 거의 30%가 이와 같은 패턴의 싸움이 되고 있고,특히 시계 등의 정밀기기,카메라,금속,철강,식품,화학공업,전기기계,50cc미만의 오토바이 업계 등에 그 전형적인 예가 보여진다.
<상대적 과점형>에 있어서 1,2,3위의 기업이 가장 균형적 상태에 들어가는 것은 1위가 40%,2위가 21%,3위가 12%의 때일 것이다. 힘의 관계가 모두 √3대1이 되어 3者에서 상한 목표에 달하기 때문이다. 힘의 관계가 이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 2위는 3위와 합병하지 않는 한 역전의 기회를 잃게 된다.
점유율의 제4의 형태는 <絶對的 寡占型>이다. 1위가 41.7%를 넘고 2위와 3위의 점유율을 가산해도 1위를 하회하여 1위의 독점을 허용하고 있는 것과 같은 패턴을 말한다.
일본의 상품에서는 전체의 10%에 지나지 않지만,비디오카메라,피아노,필름,위스키 등의 업계에 그러한 상품의 예가 보여진다.
이 <절대적 과점형>에의 발판은 상대적 과점형 중에서 1위의 기업이 40%의 점유율을 점했을 때에 생긴다. 1위의 기업이 40%의 점유율을 취해 버리면 2위와 3위의 사이에 치열한 쉐어의 다툼이 시작되기 때문에 그 사이에 1위는 유유히 어부지리를 점하여 절대적 과점형으로 쉬지 않고 달려 나가기 때문이다. 40%라고 하는 수치가 <상대적 안정치>라든가,<안정 목표치>라고 불리워지는 의미가 여기에 있다. 이상이 점유율의 4가지 형태이다.
시장점유율의 4가지 패턴
기업 점유율(%)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1) 분산형 20 18 16 14 12 10 10
(2) 2대 과점형 38 34 10 6 4 3 3
(3) 상대적 과정형 41 25 17 7 3 3 3
(4) 절대적 과점형 50 23 17 7 3 - -
☞. <22. 점유율 패턴의 推移로부터 승리법의 노하우를 찾는다>가 계속 이어집니다.
|